1960년대 태어나 1980년대에 대학을 다닌 이른바 386세대는 이제 50대 중후반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여당에 대한 지지를 보이면서도 각종 생활형 이슈가 터질 때는 보수적인 경향을 보이는 이들의 선택을 어디로 향할까요? <br /> <br />김혜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1987년 6월 광장을 가득 메웠던 20대. <br /> <br />6월 항쟁으로 민주주의를 이뤄낸 주역으로 평가받는 세대입니다. <br /> <br />30여 년이 지나 어느새 환갑을 바라보는 50대 중후반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들이 나이를 먹는 동안 한국 사회도 많이 바뀌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, 지난 1997년 처음으로 야당 대통령이 탄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이들 가운데 일부는 중앙정치에 본격 진출하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전쟁이 끝나고 10년 후 태어나 극심한 가난을 직접 경험하진 않은 세대였지만 30대 초중반, IMF 경제 위기를 목격하게 되죠. <br /> <br />40대 초반, 내 집 마련을 고민할 시기에는 집값 폭등을 경험하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런저런 삶의 무게에도 한때 뜨거웠던 동지애 때문일까요? 여전히 민주당에 대한 지지가 더 강한 경향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7년 대선 당시 50대 초중반은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높은 지지율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대선에서도 지난달 추이를 보면 이재명 후보에 대한 지지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속내는 좀 다른 모양새인데요, 현 정부 콘크리트 지지층인 40대를 비롯해 다른 연령대 정부 평가가 뚜렷한 양상이지만 50대는 상대적으로 갈팡질팡한 경향을 보입니다. <br /> <br />진보적 성향을 갖고 있지만 경제나 부동산 문제 등 실생활 이슈에도 민감한 '생활형 보수'라는 말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50대는 전체 유권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세대인데요. <br /> <br />지난해 총선 때 투표한 사람들을 보니 50대가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인원도 많고 투표도 열심히 하는 50대, 이번 대선의 캐스팅보트라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혜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혜은 (sun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30914222291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